핵심 요약
- 원/달러 환율이 1400원 돌파를 눈앞에 두고 1,399.20원까지 상승했습니다.
- 미국 고용 지표 개선에 따른 달러 강세와 영국의 재정 우려가 환율 상승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 원화는 OECD 통화 중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하며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지지부진한 한미 통상 협상과 한국 경제 성장 둔화 우려가 원화 약세를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 국제유가 상승은 수입 물가 상승을 통해 환율에 추가적인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슈 개요와 배경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00원 선을 넘나들며 불안정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 가능성과 더불어 국제 정세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 심화와 영국발 재정 위기 우려는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하며 달러 강세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국내적으로는 수출 부진과 경기 둔화 우려가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이 환율 변동성을 확대시키고 있습니다.
원/달러 환율, 1400원대 진입 임박
9월 19일(현지시간) 뉴욕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전장 대비 11.40원 오른 1,399.20원에 거래되며 1400원 돌파를 눈앞에 두었습니다. 이는 2주 반 만에 가장 높은 종가 수준입니다. 이러한 환율 상승은 미국 고용 지표 개선에 따른 달러 강세와 더불어, 영국의 재정 우려로 인한 파운드화 약세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또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전화 통화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도 달러 강세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9월 20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전장 종가 대비 9.20원 오른 1,397.00원에 마감했으며, 야간 거래에서는 한때 1,400원에 육박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영국 재정 적자 확대 소식으로 인한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원화 약세, 통상 협상 난항과 경기 둔화 우려
원화는 주요 선진국 통화 대비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최근 한 달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통화가 평균 1.1% 상승하는 동안, 원화는 오히려 0.2% 하락했습니다. 이는 튀르키예, 뉴질랜드와 함께 원화가치가 절하된 3개국 중 하나에 속하는 결과입니다. 전문가들은 지지부진한 한미 관세 및 환율 협상이 외환시장 불확실성을 키우며 원화 약세를 제약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정부가 제안한 대미 투자 확대 조건으로 원/달러 무제한 통화스와프가 미국 측에 거절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율 협상의 난항이 공식화되었습니다.
국제유가 상승, 환율에 추가 압력
국제유가는 국제 정세 불안으로 인해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수입 물가 상승을 통해 환율에 추가적인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 특성상 유가 상승은 무역수지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원화 약세를 더욱 부추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국제유가의 추이 또한 원/달러 환율의 향후 흐름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데이터로 보는 포인트
| 지표 | 현재 | 비교치 | 메모 |
|---|---|---|---|
| 달러/원 환율 (9/19 뉴욕 종가) | 1,399.20원 | +11.40원 | 2주 반 만에 최고치 |
| 달러/원 환율 (9/20 서울 종가) | 1,397.00원 | +9.20원 | 야간 거래서 1,400원 육박 |
| OECD 통화 상승률 (최근 1개월) | 평균 1.1% | - | 원화는 0.2% 하락 |
전망과 과제
향후 원/달러 환율은 국제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과 국내 경제 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국 연준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미중 무역 갈등의 향방, 그리고 영국의 재정 건전성 문제가 환율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적으로는 한미 통상 협상의 진전 여부와 수출 회복세가 원화 가치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 정부는 환율 급등락을 방어하기 위한 적극적인 시장 개입과 더불어, 경제 체질 개선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통해 원화 약세 요인을 완화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참고/출처
- 연합인포맥스(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75472) — 2025-09-19 — 달러-원, 뉴욕장서 1,400원 턱밑
- 연합인포맥스(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375492) — 2025-09-19 — 달러-원, 야간서 英 재정우려에 1,400원 육박하기도…1,397원 마감
- 한국경제TV(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366/0001109505?sid=101) — 2025-09-19 — 한 달간 OECD 통화 중 원화 상승률 최하위… 한미협상 난항에 ‘흔들’
- 연합뉴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58/0000120595?sid=101) — 2025-09-19 — 전국 기름값 6주째 하락…국제유가·환율 향후 흐름 변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