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약
- 최민희 과방위원장, 딸 결혼식 축의금 수령 의혹으로 사퇴 압박 거세져
- 모바일 청첩장 '카드 결제' 기능 포함 사실 알려지며 논란 증폭
- '양자역학 공부로 딸 결혼식 몰랐다' 해명, 비판 더욱 거세져
- 이진숙 전 방통위원장 증인 신청 철회, 위원장 지위 남용 의혹 제기
-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 국감 출석 놓고 여야 협상 난항
최민희 과방위원장, 딸 결혼식 축의금 논란 확산
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국정감사에서 최민희 과방위원장을 향한 사퇴 요구가 거세게 일었습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피켓 시위를 벌이며 최 위원장의 해명 과정과 태도를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최 위원장은 국정감사 기간 중 국회에서 딸의 결혼식을 올리고 피감기관 관계자로부터 축의금을 받았다는 의혹에 휩싸였으며, 모바일 청첩장에 '카드 결제' 기능이 포함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증폭되었습니다. 이에 대해 최 위원장은 "양자역학을 공부하느라 딸 결혼식 일정을 몰랐다"는 등의 해명을 내놓았으나, 이는 오히려 비판을 더욱 거세게 만들었다고 2025년 10월 29일자 기사들이 전하고 있습니다.
이진숙 관련 의혹과 정치권 공방
국민의힘 의원들은 최 위원장이 피감기관에 청첩장을 전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으나, 행정실까지 전달된 사실이 언론 보도로 확인되었다고 지적했습니다. 더불어 최 위원장이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에 대한 증인 신청을 철회한 것을 두고 '자신에게 불리한 증언을 막으려 위원장 지위를 남용한 것'이라는 비판도 나왔습니다. 민주당 내부에서도 '자진 사퇴'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지도부는 국정감사 이후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 국감 출석, 여야 대립
한편,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의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 출석 문제도 여야 간 첨예한 대립을 보이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김 실장이 대통령 일정 등을 이유로 국감 당일 오전 또는 오후 1시까지만 제한적으로 출석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반면, 국민의힘은 형식적인 출석에 불과하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는 이러한 여권의 입장을 '내로남불의 전형'이라며 강하게 비판하며, 과거 이진숙 방통위원장 후보자 검증 당시 3일씩 질의가 이어졌던 점을 거론하며 형평성에 맞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체크리스트
- 최민희 위원장 관련 의혹 보도를 꼼꼼히 확인합니다.
- 이진숙 전 방통위원장 증인 신청 철회 배경을 파악합니다.
-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 관련 여야 입장을 비교합니다.
- 정치권의 '내로남불' 비판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합니다.
- 국정감사 진행 상황과 향후 정치적 파장을 주시합니다.
참고/출처
- 문화일보(https://www.mhj21.com/170190) — 2025-10-29 — 최민희 과방위원장, 딸 결혼식 축의금 논란으로 사퇴 압박 거세져
- 뉴시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3566614?sid=105) — 2025-10-29 — 최민희 위원장, 딸 결혼식 축의금 논란으로 사퇴 압박
- 뉴시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746068?sid=100) — 2025-10-29 — 직원 줄줄이 병원行에 “최민희, 남의 딸은 병원, 제 딸은 돈가마” 주진우 일격
- 아시아투데이(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51029010012145) — 2025-10-29 — 이준석 “김현지 질의 축소?…여권의 내로남불 본색”
- 시사포커스(http://www.sisa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9210) — 2025-10-29 — 이준석 “김현지, 국감 오전만 맛보기형 출석?…너무 수가 얕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