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약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11월 13일 전국 동시 실시되었습니다.
- 오전 8시 40분, 1교시 국어 영역을 시작으로 수험생들은 본격적인 시험에 돌입했습니다.
- 올해 수능에는 55만 4천여 명이 응시하여 2019학년도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 문·이과 통합 체제를 유지하며, 국어와 수학은 공통과목에 선택과목을 더하는 구조를 이어갑니다.
- '킬러 문항'을 배제하는 기조를 유지하며 변별력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입니다.
- 수능 문제 및 정답에 대한 이의신청은 11월 17일까지, 성적표는 12월 5일 배부 예정입니다.
2026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통합형 체제와 변별력 기조 유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2025년 11월 13일 전국 85개 시험지구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오전 8시 40분, 1교시 국어 영역을 시작으로 수험생들은 오전 11시 50분까지 시험을 치릅니다. 올해 수능은 문·이과 통합 체제를 유지하며, 국어 영역은 독서와 문학을 공통과목으로 합니다. 교육부는 고교 교육과정 범위와 수준을 기준으로 '킬러 문항'을 배제하고도 변별력을 확보하겠다는 기조를 이어간다고 밝혔습니다. (출처: 시선뉴스, 2025년 11월 13일)
수능 응시 규모 증가와 시험 운영 방식
올해 수능에는 총 55만 4천여 명이 응시하여 2019학년도 이후 가장 많은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07년생 고3 재학생의 대거 응시와 검정고시 등 기타 지원자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출처: 시선뉴스, 2025년 11월 13일) 한편, 시각장애인 응시자는 표준 시험 시간의 1.7배가 주어져 최대 13시간 동안 시험을 치르며, 이는 세계에서 가장 긴 시험 시간으로 알려졌습니다. (출처: 네이버 뉴스, 2025년 11월 13일)
수능 일정 및 이의신청, 성적 발표 안내
수능 문제 및 정답에 대한 이의신청은 11월 17일 오후 6시까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됩니다. 최종 정답 발표는 11월 25일이며, 수험생들에게 배부될 성적표는 12월 5일입니다. (출처: KB매일, 2025년 11월 13일) 지역별로도 수능 시험이 순조롭게 진행되었습니다. 충북 지역에서는 35개 시험장에서 1만 3천 890명이 응시했으며, 이는 지난해보다 1천 200여 명 증가한 수치입니다. (출처: 충북일보, 2025년 11월 13일)
체크리스트
- 수능 당일 시험 시간표를 다시 한번 확인하고, 각 과목별 입실 시간을 엄수하세요.
- 국어 영역의 경우, 독서와 문학 공통과목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대비하세요.
- 선택과목을 정했다면, 해당 과목의 출제 경향을 파악하고 집중적으로 학습하세요.
- 시험 중 부정행위는 절대 금물이며, 적발 시 불이익이 있음을 명심하세요.
- 시험 후 이의신청 기간을 숙지하고, 정답에 대한 의문이 있다면 기한 내에 신청하세요.
- 성적표 배부일을 확인하고, 본인의 성적을 정확히 확인하세요.
데이터로 보는 포인트
| 지표 | 현재 | 비교치 | 메모 |
|---|---|---|---|
| 총 응시자 수 | 55만 4천여 명 | 2019학년도 이후 최대 | 2007년생 고3 재학생 및 기타 지원자 증가 영향 |
| 1교시 국어 영역 응시율 (대구 지역) | 92%대 | 2년 연속 유지 | 안정적인 응시 추세 |
| 1교시 결시율 (홍성·예산 지역) | 13.06% | - | - |
| 시각장애인 시험 시간 | 최대 13시간 | - | 표준 시간의 1.7배 |
자주 묻는 질문(FAQ)
Q1. 2026학년도 수능에서 국어 영역은 어떻게 출제되나요? A1. 2026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은 독서와 문학을 공통과목으로 하며, 문·이과 통합 체제를 유지합니다. 교육부는 고교 교육과정 범위와 수준을 기준으로 '킬러 문항'을 배제하고 변별력을 확보하겠다는 기조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Q2. 올해 수능 응시자 수가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2. 올해 수능에는 55만 4천여 명이 응시하여 2019학년도 이후 가장 많은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07년생 고3 재학생의 대거 응시와 검정고시 등 기타 지원자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Q3. 수능 문제 및 정답에 대한 이의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A3. 수능 문제 및 정답에 대한 이의신청은 11월 17일 오후 6시까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할 수 있습니다. 최종 정답 발표는 11월 25일에 있을 예정입니다.
참고/출처
- 시선뉴스(http://www.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1172) — 2025-11-13 — '55만여 명 응시' 2026 수능 전국 동시 실시 중…통합형 체제 유지·변별력 기조 이어가
- KB매일(https://www.kbmaeil.com/article/20251113500231) — 2025-11-13 — 대구 지역 2년 연속 수능 1교시(국어) 응시율 92%대 유지
- 네이버 뉴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601825?sid=104) — 2025-11-13 — 시각장애인들은 수능 13시간 본다…세계에서 가장 긴 시험
- 충북일보(https://news.bbsi.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54573) — 2025-11-13 — 충북 수능 시험장, 쌀쌀한 날씨 속 학부모·교사 응원 목소리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