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약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는 3월 29일 오전 1호선에서 출근길 시위를 진행했습니다.
- 전동 휠체어를 이용한 활동가들이 열차에 탑승하여 이동권 보장을 촉구했습니다.
- 시위로 인해 1호선 일부 구간 열차 운행이 지연되어 출근길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습니다.
- 전장연은 2026년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예산 확보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슈 개요와 배경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는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을 핵심 과제로 삼고 지속적인 활동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2025년 3월 29일 오전, 이들은 서울 지하철 1호선에서 '64차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라는 제목으로 시위를 진행하며 다시 한번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이번 시위는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이동할 수 있는 사회 환경 조성을 위한 절실한 요구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2026년까지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구체적인 예산 확보를 촉구하며, 관련 정책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전장연, 1호선 지하철 시위로 출근길 차질
2025년 3월 29일 오전 8시 9분경, 서울 지하철 1호선 남영역에서 전동 휠체어를 탄 10여 명의 전장연 활동가들이 서동탄행 열차에 탑승했습니다. 이들은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외치며 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쳤습니다. 이 시위는 용산역을 거쳐 노량진역에서 해산했으나, 이 과정에서 열차 운행이 지연되는 불편이 발생했습니다. 코레일 관계자와의 실랑이도 있었으며, 일부 보도에 따르면 종로선 구간(서울역~청량리역) 운행이 전면 마비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고 4th.kr은 2025년 3월 29일 보도했습니다.
이동권 보장 위한 2026년 예산 확보 요구
전장연은 이번 시위를 통해 장애인이 차별받지 않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이동권 보장을 위한 구체적인 제도적 지원을 강력히 촉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6년도 예산에 장애인 이동권 관련 사업 예산을 충분히 확보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이동 수단의 확충을 넘어, 모든 장애인이 정보 접근성, 시설 이용 등에서 동등한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이동권 보장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kukinews는 2025년 3월 29일, 전장연이 남영역과 용산역에서 탑승 시위를 진행했다고 전했습니다.
출근길 시민 불편과 사회적 논의
전장연의 지하철 시위는 매번 출근길 시민들에게 큰 불편을 야기하며 사회적 논란을 불러일으킵니다. 2025년 3월 29일에도 1호선 일부 구간의 열차 운행이 지연되면서 수많은 시민들이 출근에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서울교통공사는 시민들에게 다른 교통수단 이용을 권장하는 안내를 하기도 했습니다. newkr.kr은 2025년 3월 29일, 전장연 시위로 인해 서울 지하철 1호선 운행이 차질을 빚고 출근길 열차가 지연되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이라는 사회적 과제와 시민들의 일상생활 편의라는 두 가지 가치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줍니다.
데이터로 보는 포인트
| 지표 | 현재 | 비교치 | 메모 |
|---|---|---|---|
| 1호선 운행 지연 시간 (남영역 출발 후) | 약 25분 | - | 오전 8시 26분 출발, 오전 8시 32분부터 8시 51분까지 재차 지연 발생 (출처: 종합 보도) |
| 시위 참여 인원 | 10여 명 | - | 전동 휠체어 이용 활동가 (출처: 종합 보도) |
| 요구 예산 확보 시점 | 2026년 | - |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예산 확보 촉구 (출처: 종합 보도) |
자주 묻는 질문(FAQ)
Q1. 전장연 시위는 왜 지하철에서 진행되나요? A1. 전장연은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을 촉구하기 위해 대중교통 이용 시 겪는 어려움을 직접적으로 보여주고자 지하철 시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장애인 역시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권리가 있음을 알리기 위한 목적입니다.
Q2. 이번 시위로 인해 발생한 주요 불편은 무엇인가요? A2. 2025년 3월 29일 시위로 인해 서울 지하철 1호선 일부 구간의 열차 운행이 지연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출근길 시민들이 열차를 기다리거나 다른 교통수단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을 겪었습니다.
Q3. 전장연이 요구하는 '장애인 이동권 보장'이란 무엇인가요? A3. 장애인 이동권 보장은 장애인이 성별, 연령, 장애, 신체적 조건 등에 관계없이 시설, 정보, 이동수단 등에서 차별 없이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히 물리적인 이동뿐만 아니라, 사회 모든 영역에서의 참여를 보장하는 포괄적인 개념입니다.
참고/출처
- 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664415?sid=102) — 2025-09-29 — 전장연 시위로 서울 지하철 1호선 하행선 출근길 지연
- 뉴스크레딧 (http://www.newskr.kr/news/articleView.html?idxno=101015) — 2025-09-29 — 전장연 시위에 서울 지하철 1호선 운행 차질…출근길 열차 지연
- 뉴시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1104256?sid=102) — 2025-09-29 — '전장연 시위'에 서울 지하철 1호선 탑승 지연… 출근길 운행 차질
- 포씨에스뉴스 (http://www.4th.kr/news/articleView.html?idxno=2096555) — 2025-09-29 — 서울지하철 1호선 전장연 시위..출근길 마비
- 국민일보 (https://www.kukinews.com/article/view/kuk202509290026) — 2025-09-29 — 전장연, 서울 지하철 1호선 남영역·용산역 탑승시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