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약
- 국립국어원이 2025년 9월 30일, 외래어 19개를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 발표했습니다.
- '디토 소비'는 '모방 소비', 'RE100'은 '재생 에너지 100'으로 각각 선정되었습니다.
- 이번 결정은 '새말모임'의 후보안과 국민 수용도 조사, 국어심의회 심의를 거쳐 이루어졌습니다.
-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외래어 순화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 다듬어진 말은 국립국어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슈 개요와 배경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지만 뜻을 알기 어려운 외래어 사용이 늘면서 우리말의 고유성을 해치고 소통의 어려움을 야기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습니다. 이에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국민들이 쉽고 편리하게 우리말을 사용할 수 있도록 외래어 순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발표된 19개의 다듬은 말들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국민들의 언어생활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립국어원, 쉬운 우리말 19개 선정 발표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2025년 9월 30일, 우리 사회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이해하기 어려운 외래어 19개를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 발표했습니다. 이번 결정은 언론계, 학계, 청년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새말모임'에서 후보안을 마련하고, 전국 15세 이상 국민 3,000명을 대상으로 한 수용도 조사와 국어심의회 국어순화분과위의 심의·의결을 거쳐 이루어졌습니다.
외래어, '모방 소비'와 '재생 에너지 100'으로
국민들의 높은 선택을 받은 '디토 소비'(77%)는 다른 사람의 구매를 따라 소비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모방 소비'로 다듬어졌습니다. 또한, 'RE100'은 '재생 에너지 100' 또는 '전량 재생 에너지'로, '디스커버리 제도'는 '증거 열람 제도'로 각각 선정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다이내믹 프라이싱'은 '유동 가격제', '런치플레이션'은 '점심 물가 상승', '디지털 포렌식'은 '디지털 증거 분석' 등으로 다듬어졌습니다.
국립국어원의 지속적인 우리말 순화 노력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앞으로도 공공성이 높거나 국민 생활과 밀접한 외래 용어를 신속하게 우리말로 다듬고, 누리소통망(SNS)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국민에게 널리 알릴 계획입니다. 이는 우리말 사용 환경을 개선하고 언어문화의 풍요로움을 증진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입니다.
데이터로 보는 포인트
| 지표 | 현재 | 비교치 | 메모 |
|---|---|---|---|
| 다듬어진 외래어 개수 | 19개 | - | 2025년 9월 30일 발표 기준 |
| 국민 수용도 조사 참여자 | 3,000명 | - | 만 15세 이상 |
| '디토 소비'의 '모방 소비' 채택률 | 77% | - | 국민 수용도 조사 결과 |
참고/출처
- 아주경제(https://www.ajunews.com/view/20250930082545824) — 2025-09-29 — '디토 소비' 대신 '모방 소비', 'RE100' 대신 '재생 에너지 100' 등 외래어 19개 쉬운 우리말로 다듬어 발표.
- 한국경제(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01015?sid=103) — 2025-09-30 — '디토 소비' 대신 '모방 소비'…국립국어원, 우리말 대체어 19개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