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약
- 요기요, 시장 지위 하락 및 실적 부진으로 위기 직면
- 2023년 상반기 매출 29% 감소, 월간 활성 이용자 수 부진
- 시장 점유율 30% 내외에서 10% 내외로 급락, 땡겨요에 결제액도 밀려
- GS리테일, 요기요 지분 투자 누적 손실 부담 가중
- AI 개인화 추천 및 퀵커머스 '요마트' 확대로 돌파구 모색
- T1 선수단 협력 등 소비자 접점 확대 노력 지속
요기요, 시장 지위 하락 속 돌파구 모색
한때 국내 배달앱 시장에서 2위를 차지했던 요기요가 최근 심각한 시장 지위 하락과 실적 부진으로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2023년 상반기 요기요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9% 감소한 1068억원을 기록했으며,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역시 경쟁사 대비 부진한 성적을 보였습니다. 시장 점유율 역시 2021년 30% 내외에서 올해 10% 내외로 크게 하락했으며, 신흥 강자로 떠오른 서울시 공공 배달앱 '땡겨요'에 결제액 면에서도 밀리는 상황입니다. 대주주인 GS리테일 역시 요기요 지분 투자 이후 수년간 누적된 손실로 인해 부담이 커지고 있다고 여성경제신문이 2025년 10월 28일 보도했습니다.
배달앱 시장 전반의 경쟁 심화와 변화
요기요의 부진은 배달앱 시장 전반의 치열한 경쟁과 급격한 변화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쿠팡이츠는 무료 배송 전략을 앞세워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며 2위로 부상했으며, 배달의민족 역시 유료 멤버십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시 공공 배달앱 '땡겨요'의 빠른 확장세는 민간 플랫폼에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팬데믹 특수를 누렸던 배달앱 시장은 엔데믹 이후 성장 한계에 직면했으며, 소비자들은 여러 앱을 동시에 사용하는 '멀티호밍'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할인 쿠폰 지원 등 출혈 경쟁이 불가피한 상황이며, 간편식 시장의 성장 또한 배달앱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매일경제신문이 2025년 10월 28일 분석했습니다.
요기요의 차별화 전략과 향후 과제
이러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 요기요는 AI 개인화 추천 서비스와 퀵커머스 서비스 '요마트' 확대를 통해 돌파구를 찾으려 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e스포츠 기업 T1 선수단과의 협력을 통해 '사인 유니폼 증정 프로모션' 등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며 소비자 접점을 넓히고 있다고 e뉴스통신이 2025년 10월 27일 전했습니다. 그러나 경쟁 심화와 내수 침체 등 어려운 업황 속에서 요기요가 시장 지위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전략과 수익 구조 다변화, 서비스 혁신 등 생존을 위한 체질 개선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상황입니다.
체크리스트
- 요기요의 최신 프로모션 및 할인 정보를 꾸준히 확인하세요.
- AI 추천 기능을 활용하여 개인에게 맞는 맛집과 메뉴를 탐색해 보세요.
- 요마트 서비스 지역이라면 신선식품 및 생필품 구매 시 활용해 보세요.
- 다양한 배달앱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자신에게 맞는 앱을 선택하세요.
- 쿠팡이츠, 배달의민족 등 경쟁사의 할인 혜택도 함께 고려해 보세요.
- 서울 거주자라면 땡겨요와 같은 공공 배달앱의 혜택도 확인해 보세요.
데이터로 보는 포인트
| 지표 | 현재 | 비교치 | 메모 |
|---|---|---|---|
| 2023년 상반기 매출 | 1068억원 | 전년 동기 대비 29% 감소 | 시장 점유율 하락과 연관 |
| 시장 점유율 | 10% 내외 | 2021년 30% 내외 | 경쟁사 부상으로 인한 급락 |
|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 경쟁사 대비 부진 | - | 사용자 이탈 가능성 시사 |
| 땡겨요 결제액 | 요기요 대비 열세 | - | 공공 배달앱의 약진 |
전망과 과제
현재 배달앱 시장은 엔데믹 이후 성장세가 둔화되고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는 양상입니다. 요기요는 AI 추천 및 퀵커머스 강화라는 새로운 전략으로 반등을 노리고 있지만, 쿠팡이츠의 공격적인 확장과 '땡겨요'와 같은 공공 앱의 성장이라는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또한, 소비자들의 멀티호밍 현상이 심화되면서 할인 경쟁에 따른 수익성 악화는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공격적인 마케팅과 프로모션을 통해 기존 이용자를 유지하고 신규 이용자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기적으로는 요기요만의 차별화된 서비스 경쟁력을 확보하고, 수익 구조를 다변화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어야 합니다. 특히, 퀵커머스 분야에서의 성공 여부가 향후 요기요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습니다.
참고/출처
- 여성경제신문(https://www.womaneconom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44149) — 2025-10-28 — 쿠팡이츠·땡겨요에 밀린 요기요···시장 지위 회복 가능할까
- 매일경제신문(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1296036) — 2025-10-28 — [기획] 정체된 배달시장, 돌파구 찾아라 특명
- e뉴스통신(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45842) — 2025-10-27 — 요기요, T1 선수단 ‘사인 유니폼 증정 프로모션’ 진행
